🥬 2020년 9월 14일
파종하고 얼마지나지 않아 싹이 나온 로메인 상추의 모습. 씨앗을 심을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발아온도인데 보통의 가정에서는 일기예보로 온도를 확인하거나 온습도계를 활용하여 집안의 온도를 체크한 다음 심는 것이 성공률을 높이는 방법이다. 가장 무난한 방법은 봄에 심는 작물은 3월에 심고, 가을에 심을 수 있는 작물은 8월 말에서 9월 초에 심는다. 씨앗상자는 9월에 첫 배포를 앞두고 있었기때문에 가을에도 심을 수 있는 채소를 선정하여 배포하였다. 로메인, 청경채, 루꼴라로 원래는 시금치도 있었으나 압축배양토에서 잘 자랄수 없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3가지만 배포하였다. 가을에 심을 수 있는 식물은 봄에도 심을 수 있는데 로메인, 청경채, 루꼴라 모두 봄에 심을 수 있다.
<aside> ▪️ 집에서 씨앗을 키울때 체크해봐야할 세가지
</aside>
🥬 2020년 9월 15일
하루만에 많이 자란 모습이다. 로메인과 청경채는 발아가 굉장히 빨리되지만 그에 비해 루꼴라는 조금 느린 모습을 보여줬다. 씨앗을 기를때 중요한 요소 두번째는 햇빛이다. 빛이 적어도 하루에 4시간 이상은 들어와야 잘 자랄 수 있다. 빛은 토양의 온도 유지와 잎의 광합성과 연결됨으로 남동향의 빛이 충분한 베란다에서는 대부분 성공적으로 잘 자랄 것이지만 그렇지 않은 모든 공간에서는 웃자라거나 잘 자라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집의 경우도 햇빛이 조금도 들지 않는 다세대주택으로 아마 이것이 없었더라면 식물을 기른다는 것은 상상도 못했을 것이다. 이것이란 바로 식물성장등으로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붉은빛과 푸른빛으로 이루어진 전등이다.(요즘에는 무난한 빛의 식물성장등도 많다) 15W의 전등으로 생각보다 전기요금의 부담도 적어 식물을 기르고 싶은데 빛이 아쉬운 집이라면 한번 써볼만한 가치가 있다.
🥬 9월 18일
잎이 좀 더 자란 모습. 로메인의 경우 떡잎에 이어 본잎을 낼 준비를 하고있다. 식물성장등을 활용하였음에도 웃자람 없이 자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마다 떡잎은 비슷하지만 본잎은 제각각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매우 재밌다고 생각했다.
🥬 9월 22일
청경채의 뿌리가 압축배양토를 감싸고 있던 부직포를 뚫고 나왔다. 미세한 뿌리들이 양분을 흡수하기위해 사방으로 확장하는 것을 보니 새 화분에 심어줘도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 씨앗의 발아율을 100%로 보장 할 수 없기때문에 압축배양토에는 3~4개의 씨앗을 심도록 권장하고 있다. 만약 모든 씨앗이 발아했다면 압축배양토를 분리하여 각각 새로운 화분이 심어주는 방법과 가장 잘 자라는 1개만 두고 나머지는 뽑아 버리는 방법이 있다.